• 2023. 3. 13.

    by. 갱토리

    CIA 방수

    Combination Ideal Asphalt

     

    1. 정의

      - 아스팔트 시트와 아스팔트제 도막재를 냉간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일체와시키는 공법

      - 수용성 고무아스팔트 프라이머, 수용성 고무아스팔트 도막재(바닥용, 벽체용), CIA 복합시트로 구성

     

    2. 시공순서
      1) 바탕면처리 및 프라이머 도포
        - 바탕면 물청소, 돌출물 제거, 드레인 주위 파치
        - 코너 면잡기
        - 취약부 방수 보강
        - 표면의 기름, 먼지, 레이턴스 제거

        -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물과 1:1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도포

      2) 벽체 도막재 1차 도포, 바닥시트 부착

        - 롤러를 이용하여 수직용 도막재 벽체 전면 1차 도포
        - 벽체용 유리섬유 부착
        - 바닥 시트 간 10~20mm 간격을 두어 부착
        - 자착식 유리섬유 테이프를 시트 접합부에 부착

      3) 접합부 도막재 도포, 벽체 도막재 2차도포
        - 시트 접합부에 고농도 도막재를 도포 (배합비는 제품 시방서 준수)
        - 도막재 도포 즉시 펀칭된 부직포 완전히 함침
        - 롤러를 이용하여 수직용 고농도 도막재 벽체
      4) 바닥 전면도막재 도포
        - 바닥 전면에 고농도 도막재 도포

     

    One-Stop 방수

     

    1. 정의

      - 별도의 프라이머 없이 SS코트 도포 후 OS시트를 시공하는 복합방수

      - SS코트(바닥용, 벽체용), OS시트로 구성된다.

     

    2. 시공순서
     1) 바탕면처리

        - 바탕면 물청소, 돌출물 제거, 드레인 주위 파치
        - 코너 면잡기
        - 방수 취약부 방수 보강 (균열부위 V커팅 후, SS코트 보강 도포)
        - 표면의 기름, 먼지, 레이턴스 제거
      2) 벽체 SS코트 1차 도포, 바닥 SS코트 도포

        - 롤러가 아닌 퍼티용 도구를 이용하여 벽체 SS코트 1차 도포
        - 밀대를 이용하여 바닥 SS코트를 균일하 게 도포
      3) 바닥 OS시트 부착, 벽체 SS코트 2차 도포
        - 바닥 SS코트 도포와 동시에 바닥 CS시트 부착
        - 시트와 시트는 80~100mm겹칩 시공
        - 바닥 시트와 벽체와의 간격 10~20mm이내 유지
        - 코너부위 유리섬유 보강 후, 벽체 sS코트 2 차도포

      4) 시트 접합부 SS코트 도포

        - 시트 접합부 횡방향의 도막보강 후, 종방향 보강
        - 두께 4mm, 폭 30mm 이상 접합부 기계 시공

     

    앞으로는 지수판, 지수재에 대해 알아보자

     

    PVC 지수판 설치


    1. 위치 고정

      - PVC 지수판은 시공이 번거롭고 콘크리트 타설 시 위치변동, 구부러짐 등으로 인하여 구조적 취약부위 발생하기 쉽다.

     

    2. 지수판 재료

      1) 설치위치에 따라 구분

         - 구체 가운데 설치

         - 구체면에 설치

         - 염화비닐 수지 등을 원료로 하여 압출성형한 판상의 방수보조재(품질기준 KS M 3805)

     

    3. 지수판 설치

       - 결속선을 이용하여 500mm 간격으로 벽 철근에 고정한다.

       - 거푸집에 부착(못 또는 양면테이프를 사용)

       - 지수판 설치 중 슬래브의 경우 블리딩에 의해 부착이 불량하고 다짐이 불량하면 충전이 되지않는 경우가 발생

     

    4. 부위별 지수재 적용성

    구 분 기초와 벽 벽과 벽 Slab와 Slab Slab와 벽
    PVC ×
    가황고무계
    벤토나이트계 ×

    5. 설치 시 유의사항
      • PVC 지수판의 접합은 전기융착기를 사용
      • 3면 접합, 4면 접합의 경우 : Joint Piece 등 을 구매하여 사용
      • 지수판은 시공이 까다롭고 성능발휘가 대부분 불명확하므로 시공 시 유의하고,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필요 시 방수 보강하여야 한다.

     

    수팽창지수재

     

    1. 제품성능보다 시공에 유의

      - 팽창형 지수재는 콘크리트 타실 전 조기 팽창하면 지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2. 가황고무계

      - 고무를 주재료로 하여 친수성, 고분산 프리머를 포함시켜 확합된 변성고무로서 물과 접하면 체적이 팽창하여 차수 효과

        를 갖는 지수재

       1) 특징

         • 시공이 간편
         • 팽창 제품형태 유지, 건조수축 시 원형 복구
         • 노출부위 적용 가능
         • 탄성체이므로 설치위치에 사전 면처리 필요
         • 이음부위는 50mm 이상 겹친이음으로 시공
       2) 시공 시 주의사항
         • 조기 팽창 시 길이가 길어져 콘크리트면과 들뜸이 발생하여 누수 가능
         • 건조하면 수축하므로 급격한 수위변동에 대응 불가
    3. 벤토나이트계
      - 천연 소디움 벤토나이트의 수화반응 시 팽윤하는 특성과 Gel 상태의 불투수층을 형성하여 차수효과를 갖는 지수재
       1) 특징
         • 수팽창 시 형태의 변화
         • 무기재료로 이루어져 영구적인 효과
         • 수화 반응 시 Gel화 되어 자체 Sealing 효과
         • 콘크리트에 묻히지 않는 노출 부위에 시공 불가

         • 벤토나이트계 지수재는 맞댄이음으로 시공한다.
       2) 시공 시 주의사항
         •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재 설치 부위는 흙손으로 고르게 처리
         • 300~500mm 간격으로 못으로 고정하고 바탕면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전용 Sealer를 사용
         • 콘크리트 타설시 Vilbrator가 지수재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

         • 조기 팽창을 억제하는 지연형 기성품이 생산되고 있으므로 사용 권장

           → 조기 팽창 시 형태변형을 일으키며 풀어짐
         • 철근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철근 바깥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나 지수재의 팽창압을 고려하여 최소 50mm

           이상 되도록 할 것
         •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중앙부위에 설치
         • 2차 Sealing 효과는 있으나 균열폭이 크면 유실 우려

     

    부위별 최적 방수공법

     

    1. 세대

       1) 욕실 - 습식

          ① 벽     

               - RC : 방수없음

               - 조적 : 시멘트 액체방수 + 무기질탄성 도막 코너보강 1회

          ② 바닥

               - 무기질탄성 도막방수 + 무기질탄성 도막 코너보강 1회 또는

               - 시멘트 액체방수 + 수용성 고무아스팔트 도막 코너보강 1회

       2) 욕실 - 건식

          ① 벽

             - 무기질탄성 도막방수 + 무기질탄성 도막 코너보강 1회

          ② 바닥

             - 무기질탄성 도막방수 + 무기질탄성 도막 코너보강 1회

     

     

     

     

     

     

     

     

     

     

     

     

     

     

     

     

    '건축시공관리 > 방수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공사-11  (0) 2023.03.13
    방수공사-10  (0) 2023.03.13
    방수공사-8  (0) 2023.03.10
    방수공사-7  (0) 2023.03.10
    방수공사-6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