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0.

    by. 갱토리

    우레탄 도막방수


    1.정의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가교제를 주원료로 하는 우레탄 고무에 충전재 등을 배합한 우레탄 고무계 방수재를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바탕면에 여러 번 도포하여, 이음매가 없는 연속적인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2. 시공순서

     1) 바탕면처리
       - 콘크리트 양생 온도 20°C를 3주 이상 유지
       - 바탕면 물청소, 돌출물 제거, 드레인 주위 파치
       - 코너 면잡기
       - 콘크리트 취약부 방수모르타르 충전
       - 표면의 기름, 먼지, 레이턴스 제거
     2) 프라이머 도포

      - 개봉 후 3 시간 이내 사용
      - 붓, 롤러로 균일하게 도포
     3) 방수재 도포
       - 제조사의 배합비를 준수하여 교반기로 균일하게 교반
       - 벽체, 바닥순으로 작업
       - 기포 발생부위는 칼로 도려내고 보강 실시
       - 취약부위(균열부, 드레인 주위) 우레탄 실란트 보강

          도막 두께의 확인방법
          ① 자재 예상소요량 계산
            - 현장 적용제품의 이론도표율 확인, 적용 제품마다 다름 (예 : 도막두께 3mm기준 약 4.35kg/㎡)
            - 자재 예상소요량 = 이론도표율×방수 시공면적
            - 예상소요량과 현장소요량을 비교
          ② 시편의 도막두께 확인
            - 도막방수 완료 후, 방수 취약부위 시편(5cm x 5cm)을 잘라내어 시편의 단면 확인

     4) 탑코팅
       - 자외선 차단용 탑코팅 실시
       - 일반 탑코팅 : 3~4 년마다 재시공

       - 고급 탑코팅 : 8~9 년마다 재시공

    3. 특성 및 적용부위

      1) 특성

        • 방수층의 일체성확보 용이
        누수부위 발견이 쉽고 보수 용이
        • 복잡한 형상 시공이 용이
        • 공정이 단순하다.

      2) 적용부위

        • 옥탑 바닥, 지하 램프 바닥, 지면에 면한 지하외벽 EV홀, 계단실, 주민공동시설

    ★ 주제와 경화제의 정확한 배합관리가 중요하며, 도막두께는 원칙적으로 사용량을 중심으로 관리한다.

     

     

    폴리우레아 방수

     

    1. 정의

      • 주제인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플리머와 경화제인 폴리아민으로 구성된 폴리우레아수지 도막방수제를

        바탕면에 도포하며, 이음매가 없는 연속적인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 촉매활성이 뛰어난 아민의 사용으로, 견고한 피막을 매우 빨리 만들 수 있어 공사가 빠르다.

     

    2. 시공순서

       1) 바탕면 처리
         - 콘크리트 양생 온도 20℃를 3주 이상 유지
         - 표면함수율은 10% 이하
         - 표면의 기름. 먼지, 레이턴스 제거
       2) 프라이머 도포

         - 밀폐된 공간에서의 시공 시 산소 측정 및 환기시설 구죽
         - 화재위험을 대비하여 소화기 비치
       3) 실러 도포
         - 제조사 배합비 준수
       4) 폴리우레아 도포
         - 대기온도 5°C 이상
         - 표면온도 3°c이상, 상대습도 80% 이하

         - 제조사 배합비 준수
         - 전용 고압 스프레이 시공 (3상 전력 필요)
         - 재도장이 필요한 경우 48시간 이내 실시 (프라이머 불필요)

       5) 탑코팅
         - 폴리우레아 양생 이후 탑코팅 실시 (24시간 소요)
         - 제조사 배합비 준수
         - 밀폐된 공간에서의 시공 시 화기 및 취기에 주의

    3. 특성 및 적용부위
      1) 특성
        • 우레탄 도막방수 대비 경화시간이 매우 빨라 신속한 보수, 시공 용이(우레탄 : 5시간 / 폴리우레아 : 30초)
        • 인장강도, 내충격성, 신장률, 내약품성 등 우수한 물성
        • 우레탄도막 방수 대비 공사비 2~3배로 고가
       2) 적용부위
        • 저수조나 빙축열조 등 공사원료 후 접근이 쉽지 않은 곳

        • 수영장과 같이 지속적인 담수를 해야 하는 부위의 방수면이 노출되는 곳

        • 유지보수를 원활히 해야 하는 곳

     

    수용성 아스팔트방수

     

    1.정의
      • 아스팔트와 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고무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바탕면에 여러 번 도포하여,

        이음매가 없는 연속적인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2. 시공순서

      1) 기본 방수 시공
         - 시멘트 액체 방수 또는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
      2) 수용성 아스팔트 보강
         - 쇠흙손, 고무주걱, 롤러 등을 이용하여 균일 하게 도포
         - 보강포에 충분히 도막을 함침시킴
         - 경화 전에는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함
         - 5°C 이상의 기온에서 시공하고 양생


    3. 특성 및 적용부위

      1) 특성

         • 접착력과 내수력이 우수

       2) 적용부위

         • 발코니, 실외기실, 대피공간, 다용도실의 바닥과 벽체간 조인트 및 코너보강

     

    SMW 방수

    (Sticky Multi-layer Wing)

     - Sticky : 자착식 시트 사용

     - Multi-layer : 저점도 점착제 + PP직포 + 고점도 점착제 + 아스팔트함침부직포의 적층 방식 시트

     - Wing : 접합부 강성 확보용으로 시트 단부 유리섬유 매입

     

    1. 정의

      - 아스팔트계 시트와 아스팔트, 우레탄계 도막재를 이용한 비노출 복합방수

      - 구성 : 아스팔트 접착제, SM코트(바닥용, 벽체용, 보강용), SMW 복합시트

     

    2. 시공순서
      1) 바탕면처리 및 아스팔트 접착제 도포
        - 바탕면 물청소, 돌출물 제거, 드레인 주위 파치
        - 코너 면잡기
        - 방수 취약부 방수 보강
        - 균열부위 V-커팅 후, 접착제 도포 후 우레탄 실링
        - 표면의 기름, 먼지, 레이턴스 제거
      2) 벽체 도막 도포
        - SM접착제 + SM코트 1차 + SM코트 2차
        - 롤러가 아닌 퍼티용 도구로 SM코트 도포
        - 희석재 사용 금지
        - 바닥 150mm이상 연장 시공
      3) 시트부착
        - 시트부착 시 이음부위 간격 유지 10~20mm
        - 시트가 바닥면에서 들뜨지 않도록 가압 밀착하여 시공
        - 일교차로 인하여 시트면에 유리섬유보강재가 들뜰 수 있으므로 약한 열의 토치를 사용하여 가압밀착
      4) 시트 접합부 처리

        - 시트 맞댐 처리, 접합부 도막보강 (SM코트 조인트용)
        - 횡방향 접합부 먼저 보강 후, 종방항 접합부 보강
        - 두께 3mm, 폭 100mm 이상으로 전용기계

    '건축시공관리 > 방수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공사-10  (0) 2023.03.13
    방수공사-9  (0) 2023.03.13
    방수공사-7  (0) 2023.03.10
    방수공사-6  (0) 2023.03.07
    방수공사 - 5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