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7.

    by. 갱토리

    아스팔트방수 시공 (2)

    6. 아스팔트의 용융과 그 취급

      1) 아스팔트의 파쇄
        • 아스팔트의 모양은 40kg 종이 부대에 들어있는 고형으로 있어 있으며, 용융 시의 국부 과열에 의한 열화를 막기 위해
          도끼 등을 이용해서 2~ 3분할 정도의 작은 덩어리로 파쇄하여 용융한다.
      2) 아스팔트의 용융 및 온도관리
        • 규정 온도 이하 또는 높은 온도로 가열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온도변화가 심하면 물성을 저하하기 때문에 용융하면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차례대로 파쇄한 아스팔트를 넣는다.

        • 용융한 아스팔트는 당일 중에 모두 사용하고 다음 날에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계획한다.
        • 규정 온도 이하 시 접착력이 저하되고 바탕과 루핑 박리 발생
        • 규정 온도 이상 시 물성 저하, 인화 위험 초래
         아스팔트 종류에 따른 용융온도(℃)
          1종 : 220~230
          2종 : 240~250
          3종 : 260~270
          4종 : 260~270
    3) 용융 가마솥의 설치 위치
       • 용융아스팔트를 운반 중에 온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용융 가마솥은 가능한 한 시공장소 근처에 설치한다.
       • 단,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곳으로 한다.
       • 화기에 대한 안전 관리상 용융 가마솥과 연료탱크와의 거리는 4m 이상 떨어지도록 한다.
       • 인화물, 가연물 등의 적치장 옆, 배전선 밑, 가설발판 옆, 낙하물의 위험이 있는 건조물 옆, 차량의 통행이 잦은 곳은
         피한다.
     4) 용융 가마솥 및 그 주변의 관리
       • 슬래브 면에 용융 가마솥을 설치하는 경우에 가능한 받침대가 달린 솥으로 준비한다.
       • 이와 같은 솥을 준비할 수 없는 경우는 슬래브 면에 직접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속 빈 콘크리트불록 또는 내화벽돌
         등을 깔고 그 위에 철판을 깔아 흔들리지 않음을 확인한 후 솥을 안전하게 설치한다.
       • 실내에 용융 가마솥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통하는 배연통이나 후드를 부착한다.
       • 용융 가마솥 주위 방재, 방화에 완벽히 한다.
       • 항상 관리 요원을 배치한다.
       • 소화기, 철판, 방화용수 등의 소화 용구를 상비한다.
     5) 용융아스팔트의 운반
       • 통로는 미리 장애가 되는 것은 치우고 안전을 확인한다.
       • 운반 도중에 아스팔트가 넘쳐흘러 운반자나 다른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 상하 방향의 운반은 가능한 피한다

     ★ 아스팔트는 용융 가마에 잘게 부수어 넣도록 하고, 시공 시 기상 확인 및 온도관리를 실시한다.

     


    시트방수

    1. 정의 : 합성고무, 합성수지, 고무아스팔트 등을 합성하여 성형한 1~3mm가량의 시트를 바탕면에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2. 시트 종류
      1) 합성고분자계 시트
        ① 가황고무계 시트
           • 합성고무를 주원료로 하고 유황 성분을 첨가한 시트
           • 감온성이 작고 내피로성 우수       
             - 감온성 : 재료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경도 및 점도 등이 변화하는 성질
        ② 비가황고무계 시트
          • 합성고무를 주원료로 하고 유황 성분을 넣지 않은 시트
          • 시트 상호간의 접착성 우수
        ③ 염화비닐수지계시트
          • 염화비닐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가소제, 안정제 등을 첨가한 시트
          • 시트 상호의 용제 접착과 열융착성 우수
      2) 개량아스팔트 시트
          • 고무 아스팔트계
          •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과 아스팔트를 혼합한 것
          • 부직포, PE Film, P.P망의 보강재를 넣어 적층한 것

    3. 시공 방법에 따른 분류
      1) 접착공법
         • 접착제를 바탕면에 도포하여 그 위에 방수 시트를 압착하면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 가황, 비가황고무계시트 사용
         • 접착제 도포면적에 따라 전면 접착과 부분, 접착공법으로 구분
      2) 금속고정 공법
        • 고정철물을 이용하여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고정해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 시공이 간편하고 들뜸에 의한 방수층의 박리현상 방지
        • 용제의 접착성과 열융착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시트 사용
        • 우리나라에서는 시공사례가 적음
      3) 자착식 공법
        • 접착제 도포가 불필요한 시트를 사용하여 방수층 형성
        • 고무 아스팔트계, 부틸고무계 천연고무계 시트 사용

    4. 특징
     1) 장점
        • 제품이 규격화되어 있어 두께가 균일
        • 시공이 신속하여 공기가 단축
        • 운반이 용이
        • 상온공법으로 공해 저감
        • 다소 신축성을 발휘
     2) 단점
        • 누수 시 국부적인 보수가 곤란
        • 시트 상호 간 이음부위 결함 우려
        • 외상에 약해 파손 우려
        • 복잡한 시공 부위의 작업이 곤란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1)

    1. 정의

       •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합성고분자 시트 상태로 성형한 1~2mm 두께의 시트를 바탕면에 접착제 혹은

          고정철물로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KS F 4911(2012) 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

     

    2. 시트 종류와 공법에 따른 분류

      1) 합성 고무계

         ① 가황고무계 시트 : 접착공법

         ② 비가황고무계 시트 : 접착공법

      2) 합성수지계

         ① 염화비닐수지계 시트 : 접착공법, 금속고정 공법

     

    3. 접착공법

      1) 시공순서

        ① 바탕면 처리

           - 시트재료 보관에 유의

             (시트재료의 보관은 눕혀서 보관 시 시트 두께가 얇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그늘진 곳에 2단 이내로 세워 보관)

           - 바탕면 균열부 보수

           - 바탕면의 건조가 중요하므로 함수상태 측정(함수율 10% 이내)

        ② 프라이머 도포

           - 솔, 롤러, 스프레이 건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

           - 도포범위는 당일 시트 부착범위 내로 함.

        ③ 접착제 도포

           - 프라이머의 적정한 건조를 확인한 후, 접착제 도포

           - 솔, 롤러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

           - 도포 범위는 접착 유효시간 내에 시트 부착작업이 가능한 범위내로 함

        ④ 방수 취약부위 보강

           - 모퉁이, 귀퉁이, 콘크리트 이어치기, 균열부, 드레인 및 파이프 주위 등 보강시트 부착

        ⑤ 시트 부착

           - 도포한 접착제가 적당한 상태로 건조되어 있는지(손으로 만져 끈적거리며, 접착제가 손에 묻어나는 정도) 확인한 후,

             시트를 펼쳐 부착

           - 시트 간 이음처리 유의

    '건축시공관리 > 방수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공사-8  (0) 2023.03.10
    방수공사-7  (0) 2023.03.10
    방수공사 - 5  (0) 2023.03.07
    방수공사 - 4  (0) 2023.03.07
    방수공사-3  (0)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