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3.

    by. 갱토리

    부위별 최적 방수공법

     

    1. 세대

      2) 발코니, 다용도실, 실외기실, 대피공간(습식)

         ① 벽

            - RC : 방수 없음

            - 조적 : 시멘트 액체방수 + 수용성 고무아스팔트 도막 코너보강 1회

         ② 바닥

            - 시멘트 액체방수 + 수용성 고무아스팔트도막 코너보강 1회

       3) 발코니, 다용도실, 실외기실, 대피공간(건식)

         ① 벽

           - 무기질탄성 도막방수 + 수용성 고무아스팔트도막 코너보강 1회

         ② 바닥

           - 시멘트 액체방수 + 수용성 아스팔트도막 코너보강 1회

       4) PD, AD(건식)

          -  방수턱 설치 + 액체방수 코너보강

     

    2. 옥상부

      1) 평지붕

         ① 옥상 바닥

            - 복합방수 + 보호재 10T + 무근 콘크리트

         ② 옥탑 바닥

            - 우레탄도막 노출 3T

      2) 경사지붕

         ① 벽

            - 우레탄도막 노출 3T

         ② 바닥

           - 우레탄도막 비노툴 3T

     

    3. 지하

      1) 상부 슬래브

         ① 벽 

            - 복합방수 + 보호재 20T + PVC Flashing

         ② 바닥

            - 복합방수 + 보호재 10T + 무근 콘크리트

       2) 외벽

         ① 이중 공간벽

            - 외벽 국부방수, 공간벽 방수턱 방수

         ② 지중에 접한 계단실

            - 계단실 내측 결로방지용 PF보드 25T + 전방수 석고보드 12.5T

       3) 최하층 바닥

            - 방수없음 + 40T 또는 70T 배수판 + 무근 콘크리트

       4) 램프 바닥

            - 우레탄도막 비노출 3T + 보호 모르타르 + 무근 콘크리트

       5) 집수정 내부

            - 방수 모르타르

     

    4. 공용부 및 부대시설

      1) 저류조

         ① 벽

            - 침투성 방수 + 타르에폭시방수 2회

         ② 천장

            - 논타르에폭시방수 2회

       2) 정화조

         ① 벽, 바닥

            - 침투성방수 + 타르에폭시방수 2회

       3) 샤워실

         ① 벽

            - 우레탄도막 비노출 2T

         ② 바닥

            - 우레탄도막 비노출 3T

      

    최하층 바닥

     

    1. 개요
      - 최하층 바닥은 흙과 접하므로, 건조상태 유지가 어렵다
      - 이중 슬래브, 배수용 자갈깔기 등으로 해결하고 있으나 경제성, 시공성이 뛰어난 기성제품인 바닥 배수판 사용을

        고려한다.


    2. 특성
      1) 적용 대상
         • 바닥 구조가 이중 Sab인 경우

         • Slurry Wal을 외벽으로 사용하는 경우
         • 외부 침투 용수가 많을 때
         • 건조한 바닥이 요구될 때
      2) 적용 시 장점
         • 토공사량 감소
         • 공기단축
         • 직업성 양호
         • 방수층 노화에 의한 누수 시에도 쾌적성 확보
    3. 바닥 배수판 규격

       - 배수판 높이는 설계하중 및 유입수량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구분 크기(mm) 높이(mm) 압축하중(tf/㎡) 충전콘크리트 소요량(㎡)
    B30 500 × 500 35 30 0.0127
    B45 500 × 500 45 25 0.0123
    B70 500 × 500 70 20 0.0160


    5.시공 시 유의사항
      • 기둥이나 벽 부위에 설치할 경우 : 정확히 절단 후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테이프 등으로 밀봉 조치
      • 벽체로 구분될 경우 : 하부에 PVC 통수구(Ø50 이상) 설치
      • 배수판의 지지층에 Concrete가 채워지도록 다짐을 철저히 실시
      • 균열방지용 와이어 메시 보강이 주름 Concrete 상부 1/3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  
      • 바닥에 물 고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사 구매 및 트렌치 유도에 특히 주의

     

    외벽(1)

     

    1. 개요

      - 누수는 Form Tie 구멍, 타설이음부에서 발생한다.

     

    2. 지하외벽 누수방지

      1) 지수판의 설치위치

         - 슬래브의 물빼기용 파이프는 낙수되는 물이 내벽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엘보를 부착하거나 호스를 이용하여 유도한다.
         - 수팽창 지수판은 Concrete 타설 전 물에 노출되면 조기 팽창의 우려가 있으므로 있으므로 물이 흐르 는 곳이나 강우           시에는 사용을 피할 것
         - 지수판 주변, 벽 하부에 Concrete를 밀실하게 타설하여 곰보 발생 방지

       2) 벽면 시공의  Form Tie 설치
         - L-75×75×6을 수직 600mm 간격으로 H 형강 말뚝에 용접한 후 Form Tie를 수직 600mm, 수평 400m 간격으로 용접
         - Form Tie마다 100 X 100 x 3의 Ring Type의 지수판을 설치

      ★ 시공 중 누수된 경우 그 위치를 기록할 것 - 한번 누수되면 다시 누수될 염려가 있음

     

    3. 물빼기 파이프의 시공

      - 시공 중 Mortar가 들어가지 않도록 보양조치
      - 마감면을 고려하여 20mm정도 연장 노출 및 점검구를 설치

      - 방수턱을 구체 Concreie와 일체로 시공
      - 토류벽과 외벽 사이에 Drain Board 및 불투수성 Film으로 지수
      - 지수가 어려울 때는 가설 물빼기 Pipe를 사용하여 유도배수할 것
      - 물빼기 Pipe는 2 75mm이상으로 하여 막힘을 방지

     

    4. 외벽 관통 Sleeve
      - 외벽의 Sleeve 시공 후에는 누수가 수반되기 쉬우므로 지수장지 시공을 철저히 해야 한다.
      - 설비 배관용 Sleeve를 벽 두께에 맞추고 방수를 고려하여 반드시 Flange Sleeve를 사용한다.

     

    5. 지하 이중벽 구조
      - 외벽의 방수성능 확보를 위해서 구체의 품질향상과 마감하는 등의 방법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장기간에 걸친

        방수성능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이중벽을 설치하는 공법이 사용된다.  

      1) 배수구 및 집수구
        - 배수용 Pipe : PVC a 75 이상
        - 설치 개소 : 1 Span에 2개소 이상
        - Pipe 하부 : 내벽에 물이 닿지 않도록 엘보를 설치하거나 PVC Pipe로 바닥까지 유도
        - 이중벽 내부 바닥 : 방수 Mortar로 1/50 이상의 구배를 유지
       2) 시멘트블럭

        - 두께는 높이의 1/25 이상
        - 하부에 방수턱을 설치
        - 외벽과의 간격 : 150mm 이상이 바람직

    6. 시공 시 유의사항
      1) 점검구 설치
        - 점검구 : 배수구 전면에 점검용 Door 설치 (규격 400 x 400)
        - 배수보양 : 쌓기 모르타르로 인한 배수구 막힘 방지
           ① 방법1 : 내부 방수 모르타르 시공 후 비닐보양하고 조적시공 완료 후 점검구를 통해 제거
           ② 방법2 : 집수구에 자갈을 채움
           ③ 방법3 : 조적 1단~2단 사이에 Metal Lath로 거름망 설치
        - 환기 Grill : 이중벽체 내부의 습기 제거를 위해 환기를 고려할 경우는 점검구를 그릴창으로 하고, 같은 위치 상부에

                           환기 Grill을 설치
      2) 방수턱 설치
        - 높이는 120mm 이상 - 바닥 Slab와 일체 타설
        - 구조체로 인해 분할될 경우는 하부에 통수구 설치

      3) 지수판 설치
        - 지하수위 하부에 지하 외벽의 수직 • 수평 이음부가 있을 경우, 지수판을 설치
    ★ 쌓기 모르타르로 인한 배수구 막힘, 외벽 이어치기 부위의 누수, Form Tie 매입 부위의 부수, 내부의 결로발생 등에

         유의한다.

     

     

     

     

     

     

     

     

     

     

     

     

     

     

     

     

     

     

     

     

     

     

     

     

     

    '건축시공관리 > 방수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공사-11  (0) 2023.03.13
    방수공사-9  (0) 2023.03.13
    방수공사-8  (0) 2023.03.10
    방수공사-7  (0) 2023.03.10
    방수공사-6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