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3.

    by. 갱토리

    외벽

     

    7. 지중에 면한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

      - 흙과 편하는 지하 외벽의 외측면
      - Costrucion Joint 부위, 균열유도 줄눈 등은 보강방수를 적용
      - 설계 여건상 외벽 내측으로 이중벽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우수와 결로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방수 및 단열재 시공

        이 필요
      1) 지하외벽
        (1) 지하 외 벽체편의 보강방수
            - 위치 : 거푸집 Form Tie 제거부위, Construction Joint 부위, 균열유도출눈, 균열부위 등
           ① 구분

               적용가능한 방수공법

                •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국부방수
                • 우레탄 실런트 국부방수
                • 액체방수 + 우레탄도막 방수

           ② 보호층

                • 없음
           ③ 기타

                • 프라이머 시공 필수

      (2) 지하 외 벽체면의 전면방수 사례
          - 우레탄도막 비노출 2T + 골조벽체 + 결로방지용 단열재 50T

          - 결로 방지를 위해 외단열 혹은 내단열로 시공 가능하며, 외단열로 시공 시 흡수율이 낮은 단열재를 적용

     

    램프

     

    1. 지하 램프

      -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천장, 벽체에 물끊기홈을 설치

      - 벽체 이음 타설부는 슬래브 보다 120mm 이상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시공한다.

      - Joint면은 이물질 및 Laitance를 완전히 제거하고 시공한다.

      - 램프 내 우수 유입방지를 위한 구배 또는 과속방지턱 설치

      - 트렌치 그레이팅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소음트렌치 적용 시공

      - 램프 하부 예각부는 너무 좁으면 시공 여건이 좋지 않아 방수 품질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벽체 높이가 600mm 이상

        되도록 시공한다.

      - 충돌방지턱도 분리하고 구조적으로 취약하지 않은지 확인한다.

      - 도로부위 : H:2.3m 이상

      - 주차부위 : H:2.1m 이상이 유지되도록 마감처리에 유의한다.

      - 충돌방지턱을 따라 물이 흐르지 않도록 상부면을 램프 중앙 쪽으로 구배를 만들거나,

        1개소 이상 끊어서 트렌치 쪽으로 물길을 유도한다.

      - 램프 벽체와 경사로 조인트는 누수우려가 있으므로 일체타설할 것

     

    저수조

     

    1. 밀실한 구조체의 형성
      - 저수조의 층고가 높고 규모가 커서 Concrete의 결함부위기 발생
        →  - 철근간격 철저 : 피복두께의 유지, 철근배근 검토

             - 정류벽, 간벽

             - 수밀 Concrete 타설 : Cold Joint 방지. 재료분리 억제, 다짐 철저

       

       - Slab의 Span이 클 경우 중앙 부위를 필러 동바리 구조로 하고, 보와 Slab 중앙은 지주 바꾸어 세우기 금지
       - Construction Jolint가 생기지 않게 타설계획을 세우고, 부득이 발생 시에는 지수판을 반드시 설치


    2. 바탕처리 (구조체의 결함부위는 사전에 완전보수)
      - 시공 이음부위, Cold Joint, Form Tie 구멍, 균열부위, 곰보 등

      - 파치한 모든 부위는 물로 깨끗이 청소한 후 충전용 혼합물을 두께 2~3cm 정도로 채우고

        기타 부위는 Cement Mortar로 채워 면고름
      - 거푸집 이음부위 등의 돌출면은 면고르기를 철저히 하여 Concrete 면을 평활하게 조치
      - 균열이 발생했을 경우 Epoxy Injection으로 방수작업 전 보수


    3. 방수 시공
      - 환기 철저, 가설조명 확보, 장비 반입구 안전시설 설치
      - Epoxy 도막방수 - 바탕면의 건조 확인

     

      - 시멘트 모르타르 방수의 들뜸으로 방수층 파단 발생 (배수 시 방수층에 진공압 작용)

         → - 구체 내의 공극과 모세관을 메워 방수효과를 발휘하는 구체 침투방수로 변경

             - 구체침투 방수의 장점 : 무독성, 들뜸/박리 방지, 시공이 간편
      - 시멘트 액체방수 2차 + Epoxy 도막방수

        1안) 구체 침투방수 + Epoxy 도막방수
        2안) 바탕면 처리 + 폴리우레아 도막방수


    4. 바닥 구배

       - 침투성 방수 위 Epoxy 도막방수 또는, 면처리 위 폴리우레아 도막방수

       - 저수조 청소를 위해 중앙 부위에 Open Trench 설치 → 집수정으로 유도
       - 구배 Mortar : 1/50 이상


    5. 점검 사다리

      - Opening 부위, 천장 또는 수위면 상부에 고정

      - 방수층 훼손을 막기 위해 벽에 앵커설치 금지

      - 별도의 기초 Concrele를 타설하여 바닥 방수층 훼손 방지

      - 저수조 벽체에는 사다리 지지용 Anchor 시공을 지양한다.

    ★ 지하 저수조의 층고가 높고, 일반적으로 규모가 커서 저수조의 옹벽 및 바닥 콘크리트에 크랙, Cold Joint,

        재료 분리현상이 발생하므로 → 콘크리트 품질확보가 중요하다.

        

    공동구

     

    1. 공동구 침하방지를 위한 방안

      1) PHC 파일을 시공

      2) 헌치를 설치

      3) 기초에 지지

     

    2. 시공 시 유의사항

      - 하부 되메우기가 후속일 경우, 공동구 측벽을 빔으로 해석하여 구조 검토

      - 공동구 가까이 집수정을 설치하여 필요 시 공동구 하부에 시멘트 그라우팅 실시

      - 공동구의 심도가 상수면 이상일 경우, 팽창형 지수재는 사용 금지

     

    ★ 공동구 지반의 지내력 부족으로 Settlement(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 부등침하로 인한 균열발생 가능

     

    Post Pile 슬래브 관통부위 시공관리방안

     

    1. 시공관리
      - H-Pile Steel Brush로 청소 후 설치
      - 두께 3mm Steel Plate를 위 그림과 같이 레이저 가공해 콘크리트 타설 시 공기가 차지 않도록 V자 형태로 용접설치
      - 철판은 H-Pile에서 10cm 이상 돌출되도록 하고, 설치높이는 작업성이 확보되는 한 바닥쪽으로설치
      - 철판 하부 H- Pile과 접합부에 수팽창성 코킹으로 방수보강


    2. 시공 시 유의사항
      - 철판 레이저 가공 시 H-Pile Flange와 Web 접합부의 곡률반지름을 고려하여 발주

     

    '건축시공관리 > 방수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공사-10  (0) 2023.03.13
    방수공사-9  (0) 2023.03.13
    방수공사-8  (0) 2023.03.10
    방수공사-7  (0) 2023.03.10
    방수공사-6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