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20.

    by. 갱토리

    Jack Support 설치

     

    1. 잭 서포트 사용 전 고려사항

      ・공사 중 설계기준을 상회하는 과다한 하중 또는 장비 사용 시의 진동, 충격이 예상되는 부위는 하층 마감공정 및 상부

         이용계획을 검토하여 보강 조치한다.

    2. 잭 서포트 적용 효과

      ・공사 진행 중에 다양하게 발생되는 하중을 부담한다(장비이동 통로, 자재 야적장, 호이스트 설치부위, 펌프카 설치부위)

      ・잭 서포트 보강 → Slab의 균열 방지

    3. 잭 서포트 지지하중                                                                                                                                                [단위:kN]

    잭서포트의
    길이(m)
    Ø114.3×4.5t Ø139.8×4.5t Ø216.3×4.5t
    장기하중 중기하중 장기하중 중기하중 장기하중 중기하중
    2.7 186 233 252 315 443 554
    3.3 161 201 231 289 428 535
    3.9 137 171 207 259 410 513
    4.5 112 140 181 226 389 486
    5.1 870 109 154 193 365 456

    4. 잭 서포트 설치

      ・설계하중(D.L+L.L) < Slab 자중 + 시공하중 이면 잭 서포트 보강한다.

      1) 건축자재 야적 시

      ・보의 중앙에 최소 1본씩 하부 2~3개 층에 설치한다.(단, 지지된 작은 보를 지지하는 큰 보는 미설치 가능)

      2) 펌프카 작업 시

      ・H형강을 콘크리트 보 사이에 설치(펌프카 Outrigger의 집중하중 분산)

    ※ 하중검토 사례

      ・조건 : 아파트 1층 외부주차장에서 레미콘 차량(6㎥) 작업을 위한 검토

         - 설계하중 예 44.4kN/㎡

         - 레미콘 차량의 등분포 활하중 : 19.2kN/㎡, 차량별 하중 참조

         - 시공하중 = 차량의 등분포 활하중 + 슬래브 자중

                          = 19.2kN/㎡ + 6.0kN/㎡

                          = 25.2kN/㎡

            → 설계하중(44kN/㎡) > 시공하중(25.2kN/㎡) : 레미콘 차량 작업이 가능하다.

      ・차량별 하중

    차량명 규격 등분포 하중(kN/㎡)
    지게차 3톤 4.0
    5톤 9.6
    레미콘 6㎥ 19.2
    펌프카 36m 17.3
    42m 25.4
    하이드로 크레인 25톤 35.3
    50톤 63.3

    이 부분은 대략적인 예시이며, 실제 장비의 스펙을 참고하여 정확한 값을 확인한다.

     

    Link Beam 설치

     

    1. Link Beam

      ・별개로 분할되어 있는 Shear Wall을 Coupled Shear Wall로 작용할 수 있또록 연결해주는 부재로, 큰 강성이 요구된다.

    2. Link Beam 시공 전 고려사항

      ・타워크레인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설치시간 단축과 철골 및 과다한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 품질확보 대책이 필요하다.

    3. 설치 시 문제점

      ・Link Beam은 대부분 SRC로 철골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설공사가 필요하고, 설치 시간도 길어

         져 타워크레인 운용에 부담이 될 수 있음.

      ・철골 및 과다한 철근으로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설치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4. 시공 개선안

      ・지상층에서 PC로 제작하여 옹벽 거푸집에 설치함으로써 시간 단축 및 품질관리 개선이 가능하다.

     

    지면에 면하는 바닥 Slab(Slab On Grade)

     

    1. S.O.G(Slab On Grade) 시공 시 고려사항

      ・침하, 하중조건, 온도의 차이, 바닥거푸집 등 지상의 Slab와는 다른 조건에 의한 관리 포인트가 필요하다.

        - 지반이 나쁘고 되메우기가 충분치 않으면 침하 발생

        - 공장 바닥 등 사용 조건에 따른 표면강도가 요구됨(강섬유 보강콘크리트공사)

        - Slab 하부는 상부와 온/습도가 다름에 유의한다.

        - 수압의 작용도 고려할 것 

      1) 표면 강도

      ・표면 강도를 올리기 위해 충분히 흙손누르기를 실시한다.

      ・표면경화제를 사용할 때는 제조업체의 정확한 시방에 의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 Bleeding

      ・하부에 방습층이 있어 Bleeding 증대

      ・Slump 값을 가능한 한 낮추거나 효과적인 유동화제 사용으로 단위수량을 저감한다.

      ・Bleeding이 많을 경우 흡수 처리한다.

      3) 방습층의 설치

      ・Spacer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방습층의 중첩 길이는 200mm 이상

      ・지반이 동결해 있을 시 Concrete의 타설을 금지한다.

      4) Spacer의 고정

      ・쇄석 위에 바로 Concrete 타설 시 철근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Spacer 설치에 유의한다.

     

    Slab 거푸집의 설치(1)

     

    1. Slab 거푸집 조립

      ・구조물 마구리 부위의 면목 및 수절목(물끊기)이 누락되지 않게 한다.

      ・Concrete Pump 배관 받침대 → 보, Slab의 배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벽, 보 이음부 → 벌어지지 않도록 튼튼하게 Slab 거푸집이 보 옆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설치한다.

      ・지보공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면목과 수절목을 동시에 시공한다.

      1) Slab 부재의 허용오차

      ・위치 : ±20mm

      ・단면치수 : +5, +20mm

    2. 면귀 및 물끊기홈 설치

      ・보 및 Slab의 돌출 부위(Cantilever 등)로 빗물이 타고 들어가는 곳

         발코니와 같은 캔틸레버는 면목과 수절목을 일체로 시공하여 마감을 깨끗하게 처리한다.

      ・면목과 수절목 결합 기성재(콤비) : 두께 15mm, 20mm 등 / 길이 58mm, 65mm, 78mm 등

     

    Slab 거푸집의 설치(2)

     

    1. Slab 거푸집 조립 순서

      ① 기둥, 보와 Slab의 직각여부 검사 → 기둥, 보, 벽거푸집의 조립, 수정

      ② Support, 멍에, 장선 → 벽, 보의 옆에는 장선받이를 댄다.

      ③ 합판의 배치 → 가능한 한 정착을 사용하고, 보조판은 마무리 부위에 사용한다.

      ・주의 : 서포트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 Camber는 6m에 5mm 정도 유지한다.

                    Camber : 보, 슬래브 및 트러스 등의 수평 부재가 하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하여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것

                                   또는 들어올린 크기

    2. 가설 개구부 시공 사례

      ・Slab 거푸집 위에 정확한 먹줄내기 후 위치 선정 작업을 진행한다.

      ・개구부의 거푸집 :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4곳의 Corner 및 중앙부에 보강재 설치

      ・보강철근의 설치

      ・개구부의 방향 : 가설재 이동을 위한 개구부의 방향은 주근이 적게 절단되는 방향으로 설치한다.

                                   철근은 향후 연결을 위해 이음 길이만큼 내밀어 놓는다.

    3. Slab 거푸집 설치 시 유의사항

      ・Slab 개구부의 철근이음 길이가 부족하지 않도록 철근배근 시 유의한다.

         이음길이가 개구부 폭보다 보통 길기 때문에 위로 꺾어서 철근 절단면의 날카로운 부분은 보양하여 안전하게 처리한다.

     

     

     

     

     

     

     

     

     

     

     

     

     

     

    '건축시공관리 > 거푸집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푸집공사-7  (0) 2023.03.27
    거푸집공사-6  (0) 2023.03.22
    거푸집공사-4  (0) 2023.03.20
    거푸집공사-3  (0) 2023.03.19
    거푸집공사-2  (0) 2023.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