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22.

    by. 갱토리

    슬래브 하부 지보공

     

    1. 슬래브 하부 지보긍 설치 시 유의사항

      ・ 거푸집의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특히 경사부(Ramp, 계단 등) 및 슬래브 두께가 300mm 이상의 경우는 주의하여 관리한다.

     

    2. 슬래브 하부 지보공 설치 기준

      ・ 슬래브 거푸집의 합판 조립 시 끝부분은 표준치수제를 사용

      ・ 보통 장선의 간격은 200~450mm

      ・ 동바리의 높이가 3.5m를 초과할 때 2m 이내 간격으로 수평연결재(강관각재)지지

      ・ 장변 동바리의 간격은 1m 내외

      ・ 보, 슬래브의 Joint를 확실히 하여 보가 옆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

      ・ 동바리 핀은 내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전용품 사용 필수

      ・ 멍에의 간격은 1~2m(보통 슬래브 장변과 평행하게 3줄)

     1) 상부가 멍에를 받치는 동바리의 상부 고정방법

      ・ 멍에에 단단히 고정하고 못 등을 사용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처리

     2) 상부가 장선을 받치는 동바리의 상부 고정방법

      ・ 매끄러운 바닥인 경우, 못 등으로 단단히 고정

      ・ 경사진 바닥인 경우, 쐐기 등으로 보강

      ・ 흙 등에 가설되는 경우, 판깔기를 하고 못으로 고정한다.

     

    3. 슬래브 하부 지보공 배치 시 유의사항

      ・ 멍에, 장선, 동바리의 간격은 거푸집의 설계 결과에 따른다.

      ・ 동바리의 수평 연결재 긴결을 위해, 같은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관리에 유의

     

    시스템 동바리 설치(1)

     

    1. 시스템 동바리 설치 기준

     ① 구조계산서 배치간격 확인으로 수직재 연직 설치. 보 및 슬래브 배치간격 확인

     ② 휨 좌굴 방지를 위하여 각 틀간 수직 가새 설치

     ③ 사각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최상단면과 최하단면에 수평 가새 설치

     ④ 수직재와 수평재는 직교되게 설치하고, 접속부 및 이음부에는 연결핀 등 전용철물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탈락 등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

     ⑤ 설치높이는 단변 길이의 3배 초과 금지 및 초과 시에는 주변 구조물에 지지하는 등 붕괴방지 조치

     ⑥ 초기설치 시 잭 스크류를 조절하여 수평을 확보하고, 수직재에 편심에 의한 구조적인 힘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

     ⑦ 바닥이 경사진 곳에 설치할 경우에는 쐐기 등을 설치하여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조치한다.

     ⑧ 자재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변형 및 부식 등 심하게 손상된 것은 사용 금지한다.

     ⑨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지반의 지지력을 검토하여 강재, 목재 등을 이용하여 깔판 또는 깔목을 설치하거나, 지반다짐 후 콘크리트

         타설하는 등 상재하중에 의한 침하방지 조치한다.

     

     1) 자재 설치기준

      ・ 자재 : 결손자재 사용 금지

      ・ 배치간격 : 구조계산서 간격 준수

      ・ 수직가새 : 기울기 60도 이내 설치

      ・ 수평가새 : 최하단, 최상단부 설치

      ・ U-Head : 삽입길이 200mm 이상

      ・ Jack베이스 : 삽입길이 200mm 이상, 수평설치(Leveling) 부등침하 방지

      ・ 타워형 : 사각틀 좌굴 방지

     2) 설계하중

      ・ 고정하중, 활하중, 충격하중 등은 콘크리트설계기준 적용

     3) 검토항목

      ・ 배치 간격

      ・ 수평재 간격

      ・ 가새설치 상태

      ・ 보, 슬래브 동바리 수평재 설치

     

    2. 잭 베이스 및 U-헤드

      ・ 잭 베이스 전체 길이는 600mm 이내

      ・ 수직재에 조립 시 길이 200mm 이상, U-헤드 200mm 이상

      ・ U-헤드 중심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쐐기 등을 설치한다.

     

    3. 수평재 연결

      ・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400mm 이내 수평재 설치

      ・ U-헤드 상단으로부터 400mm 이내 수평재 설치 

     

    시스템 동바리 설치(2)

     

    1. 시스템 동바리 조립/해체 시 안전작업

     ① 조립 및 해체 위치가 2m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발판 및 안전한 통행을 위한 가설계단 설치

     ② 작업발판 설치가 곤란할 때에는 추락방지망을 설치하거나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③ 출입금지 구역 등을 설정하고, 작업자 이외의 인원 출입통제를 위한 감시원 배치

     ④ 비, 눈, 그 밖의 날씨가 몹시 나쁠 때에는 조립 및 해체작업 중지

     ⑤ 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달줄 또는 달포대 등을 사용

     ⑥ 해체 작업은 조립의 역순으로 실시하고, 해체작업 계획 수립 후 작업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작업한다.

     ⑦ 조립 및 해체 작업 등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작업 전에 특별교육 실시

     ⑧ 해체된 자재는 규격별로 정리하고, 운반 시에는 부재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

     ⑨ 작업에 적합한 개인 보호구(안전모/안전대/안전화/안전장갑 등) 착용

     

    2. 시스템 동바리 추락방지 시설

     ① 추락방지망 설치 높이는 현장 층고를 고려하여 여건에 맞게 조절

     ② 하부 추락방지망은 상부 추락방지망 길이 끝단부보다 연장 설치하여 최대한 낙하물로부터 보호

     ③ 작업발판 설치높이는 상부 추락방지망 위로 설치한다.

     

    슬래브 Concrete 타설과 마무리

     

    1. Level 준수와 Crack 방지

      ・ Concrete 표면의 품질은 후속 마감의 품질을 결정한다.

     

    2. 타설 및 Vibrating

      - 타설 시

      ・ 1개소에 집중하지 않고 소정의 장소에 조금씩 타설

       → 너무 많이 Concrete를 타설한 후 이동시키면 수분의 증발이 심하게 됨에 유의한다.

      - Vibrating

      ・ 마찬가지로 1개소에 집중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 두터운 모르타르 층이나 Laitance의 발생 방지.

     

    3. 표면 고르기

     1) 초벌 고르기

      ・ Level은 Laser Level 이나 기준점 등을 설치

      ・ Concrete의 다짐 후 T형 규준대나 긴 막대 규준대 사용

     2) 나무흙손 고르기

      ・ 소정의 평탄도 달성

        시점 : Bleeding 수가 없어진 후, 혹은 제거한 후가 원칙

                 Bleeding 수를 제거하지 않으면 Laitance, Crack 발생

     3) 쇠흙손 고르기

      ・ 제물치장으로 마무리할 때

        시점 : 콘크리트의 표면이 손가락으로 눌러서 들어갈 정도의 시간 경과 후

     

    ★ Tamping : 나무흙손이나 별도의 탬핑 도구로 표면을 두들겨 침하균열 방지

         Concrete 응결 → 표면 건조 → 표면의 균열발생 → 균열을 빠른 시기에 제거해 주면 재발생 방지 가능

     

    4. 구조 Slab 용 Level Spacer

      ・ 하부 못 고정 : 못 2개 박는 것이 원칙이나, 철근 중량에 따라 못을 박지 않을 수도 있음.

      ・ 스프링은 물체에 걸리면 넘어졌다가 치우면 일어나는 역할

      ・ Bolt가 30mm 스프링 사이에 들어있으므로 ±30mm Level 조정 가능하다.

      ・ Level 조절 너트

      ・ Concrete Slab Level 마감점, 돌출 부위는 Level 검사 때 유용함

      ・ 확인점(상단 끝 부분) : 육각머리는 콘크리트 타설의 감독 역할, 콘크리트에 묻혀있을 때 확인이 잘 됨, 밀대질 직후 제물마감 직전 머리를

        빼낼 때 손잡이 역할

     

     

     

     

     

     

     

     

     

     

     

     

     

     

     

     

     

     

     

     

     

     

     

     

     

     

      

    '건축시공관리 > 거푸집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푸집공사-8  (0) 2023.03.28
    거푸집공사-7  (0) 2023.03.27
    거푸집공사-5  (0) 2023.03.20
    거푸집공사-4  (0) 2023.03.20
    거푸집공사-3  (0) 2023.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