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 상부 Slab
1. 지하 상부 Slab 시공 시 유의사항
・지나친 하중 재하 방지 및 안전한 가설 지보공을 설치하고, 이어치기 부위에는 지수판 시공을 철저히 하여 균열과 누수
를 방지한다.
2. Constructino Joint 부위의 지수판 설치
・ 지수판의 폭 : 150~230mm
・ Concrete의 타설 전 연장된 철근에 결속하여 처짐 방지
・ 지수판의 위치가 제자리를 벗어날 경우 지수가 안될 뿐만 아니라 물길을 형성하게 됨.
→ 물길 형성은 곧 방수 하자의 요인
・ 지수판의 위치 고정이 중요하며, 지수판 하부 Concrete 다짐이 중요하다.
3. Slab 상부 복토량 검토
1) 적용 조건
・ 지상 1층 옥외주차장 부위를 조경구간으로 설계 변경할 경우 별도 구조검토 없이 다음 조건하에서 흙 두께를 산정해
본다.
・ 마감하중과 슬래브하중은 변경 전/후 동일하다고 가정
- 고정하중 계수 : 1.2
- 활화중 계수 : 1.6
- 일반 흙 단위하중 : 18kN/㎥
2) 산정 예
・ 기존 활화중 ≥ 변경 활화중 + 추가 고정하중
・ 16 × 1.6 ≥ 5 × 1.6 + 18 × t × 1.2
・ t ≤ {(16 - 5) × 1.6} / (18 × 1.2) = 0.815m
→ 즉, 두께 800mm 내의 조경구간 흙 설치는 별도 구조검토 없이 가능하다.
조경, 도로 등 환경조성을 위한 분포 시 무리한 상재 하중 → 균열 및 붕괴의 원인이 된다.
▶ 상재토를 줄이는 설계변경, 지붕층 슬래브를 올려 Ceiling 등을 설치한다.
지하 이중 Slab
1. 지하 이중 슬래브의 대안
・ 바닥 배수판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이고 토공 물량을 감소시킨다.
2. 이중 슬래브
・ 이어치기 부위는 지수판 설치가 필수
・ 물빼기 Pipe는 Ø75 이상으로 Span 당 2~3개소
・ 버림 거푸집을 쓰기도 하나 부패로 인한 오염(벌레, 악취 등)을 방지하기 위해 버림 거푸집은 실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함. 대안으로 데크플레이트 혹은 Spancrete, Half Slab 등의 사용을 검토한다.
・ 거푸집 반출 개구부는 구조상 지장이 없도록 하고 개구부 보강을 철저히 시공한다.
・ 통기공을 반드시 설치한다.
3. 배수판의 사용
・ 최하층 이중 슬래브 작업의 난이성 때문에 공사비 상승 → 바닥 배수판 사용
→ 누수 시 바닥상태 양호, 이중 슬래브 대비 작업성 양호, 토공물량 감소, 공기 단축의 장점이 있다.
발코니 시공
1. 발코니 시공 시 유의사항
1) 선단부 처리와 Spacer
・ Cantilever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근 배근의 정확성이 필수적이다.
・ 선단부 처리 : 방수턱은 일체로 타설 처리할 것(Joint 부위에 균열 등 누수발생우려), 선단 철근의 최소피복 확인.
・ 물매는 5% 이하가 바람직하다.
・ Spacer의 확인 : 상, 하부근 Spacer 처리가 중요하며, Concrete 타설 전 Spacer 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한다.
・ Slab 의 정착 길이를 충분히 하여 연결 Slab가 있을 경우 곧게 펴서 시공한다.
2) 발코니 지보공의 해체
・ 발코니 지보공의 해체는 상부 2개층 위의 슬래브가 설계강도이상 확보된 후 시행한다.
3) 높은 발코니 + 수직벽 일체형 폼을 사용하여 동시타설할 때
・ 발코니 상부에 뚜껑을 설치 : 공기구멍을 두어 밀실 충전을 유도하며, 면 접기는 갱폼 또는 뚜껑 부분에 용접해 사용.
▶ Control Joint 설치
・ 발코니 벽이 있는 경우, 그 형상에 따라 균열 유도줄눈(Control Joint)을 설치한다.
▶ 편복도의 Parapet
・ 마찬가지 6~7m 간격으로 Control Joint 설치
・ 위치 : 하부 Cantilever 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
・ 완전분리 → 철근 배근까지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apet 주변 시공
1. 옥상 누수방지
・ 옥상 방수의 누수 원인은 대부분 Parapet 부위 처리불량에서 비롯된다. → 방수턱 시공, 누름 Concrete 관리 철저
2. Parapet 주변 처리
・ 원활한 Concrete의 타설을 위해 바깥쪽 거푸집을 200mm 이상 연장시공하고, Parapet의 끝선을 줄눈 거푸집이나 못
등으로 처리한다.
・ 내부 거푸집은 상부 면처리가 가능하도록 높이를 맞추어 시공한다.
・ Parapet의 타설 이음부 처리
- Parapet의 Concrete는 그 아래 부분의 보, 슬래브 등과 동시 타설하는것이 곤란하다.
- 하부 슬래브에서는 100mm정도 이상을 반드시 동시타설하여 누수 우려를 막는다.
- 타설 이음부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물매를 주어 시공한다.(시공 Joint 균열을 타고 옥상 바닥으로 흐를 수 있으므로)
3. 방수턱의 시공
・ Parapet 이나 옥탑의 벽에 시공 → 방수턱 Concrete를 일체로 타설하고 물끊기홈을 설치한다.
・ 또는 기성제 방수 Cover Flashing을 사용한다(ABS 재질 또는 PVC 재질)
4. 시공 시 유의사항
・ 누름 Concrete의 신축 줄눈이 없으면 팽창에 의해 Parapet 파손
→ Parapet 이나 옥탑 벽으로부터 폭 30mm 이상 이격하고 누름 Concrete내에도 신축줄눈을 설치한다.
・ Control Joint가 없으면 Parapet 에 균열 발생
→ 20 × 25 정도의 면목을 사용하여 6~7m 간격으로 Parapet 상단 부분까지 Control Joint 설치한다.
(꺾인 부분은 반드시 Control Joint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