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29.

    by. 갱토리

    Table Form

     

    1. Table Form 개요

      ・거푸집판과 지주(Shoring)를 일체로 제작하여 부재화한 슬래브용 거푸집, Flying Form 이라고도 부른다.

      ・구성 : 거푸집판 + 지주 + 해체와 이동을 위한 보조장치

      ・수직, 수평으로 반복 모듈을 가진 초고층 또는 아주 넓은 지하층 구조물에 적용한다.

     

    2. 시공순서

    Truss형 Support형
      ・거푸집 중량이 무거워 타워 크레인 부하가 크므로 양중
         계획이 중요하다
      ・1개층을 2~4개 Zone으로 구획하여 순환적인 공정관리
      ・기둥과 테이블 폼 사이에 Filler 합판을 설치하여 보, 기둥,
          슬래브 동시 타설에 용이하다.
      ・폼 분할은 지게차 용량, T/C 양중능력, 차량 수송성을 고려
    Step 1 - 테이블 폼 해체 Step 1 - 테이블 폼 해체
      ・Truss Table 거푸집 해체 장비를 이용하여 Drop Down 준비
      ・Lowering Device Truss Table 하단에 설치
         → Extension Staff를 안으로 밀어 넣고 Screw jack 고정
      ・Lowering Device를 이용, Truss Table을 Down 시킴
         → 수평이동 장비(Landing Dolly)위에 안착시킨 후 이동
      ・지게차를 이용하여 해체틀을 떠서 해당 거푸집 하부에
         배치하고 동바리를 제거
    Step 2 - 테이블 폼 수평 이동 및 수직 상승 Step 2- 테이블 폼 수평 이동 및 수직 상승
      ・전면에 T/C Wire 결속 후 Slab 밖으로 서서히 밀어냄
      ・Wire가 인장을 받은 상태에서 후면에 T/C Wire 결속
      ・Compensating Cylinder에 의해 자동으로 균형이 유지되면
         Slab 밖으로 완전히 밀어내어 상층부로 이동
      ・새로운 설치 지점으로 이동 설치
      ・해체된 거푸집을 지게차를 이용, 상승용 데크에 올림
      ・상승용 데크에 부착된 레일을 밖으로 이동
      ・T/C Wire 결속 후 상층부로 이동, 배치

     

    알루미늄 폼

     

    1. 알루미늄 폼 개요

    재질 특징 거푸집 구성 특징
      ・비중 : 2.7
      ・허용 휨 응력도 : 2.25kgf/㎠
      ・영 계수 : 7.0kgf/㎠
      ・Slab Corner 폼을 이용하여 벽체와 슬래브를 일체로 조립
      ・벽체 레벨조정목은 Rocker라고 하는 알루미늄 앵글을 사용
      ・정밀도 향상을 위해, 원형 Hole을 가공한 Pin 체결방식
      ・슬래브 필러 역할은, Prop Head를 이용

    2. 알루미늄 폼의 장단점

    구분 Euro Form AL Form
    장점   ・자재수급이 원활함
      ・대중화로 기능 인력
          풍부
      ・부착물의 못 고정
         가능
      ・다양한 형태 변화에
         대한 적응성 양호
      ・걸레받이 및 몰딩
          주위 등 수직, 수평
          정밀도 우수
      ・면처리(견출)감소
      ・먹매김, 인양 품
          감소
      ・폐기물 저감
      ・설비 슬리브 위치
         정확성 확보
    단점   ・부재 강성 부족으로
          변형 심함
      ・수직, 수평 보강재
          많음
      ・접합부가 많아 
          면처리 증가
      ・걸레받이 및 몰딩선
          불량
      ・각재 사용에 따른
         이물질이 벽체 유입
         가능성 많음
      ・수직, 수평 정확도
         떨어짐
      ・초기 투자비 높음
      ・다른 폼과 호환성
         저하
      ・수평목 없어 콘크
         리트 레벨관리 필요
      ・불량 자재 반입 시
         초기 세팅시간
         지연 과다
      ・박리제 흡수가
         안되어 철근 부착력
         확보에 세심한 관리
         필요

    3. 알루미늄 폼 시공 시 유의사항

     1) 도면 검토

      ・마감 도면 기준으로 구조도와 상이한 부분 검토

      ・부위별 마감 종류 확인(노출, 도배, 미장 등)

     2) 폼 발주 단계

      ・폼 계획도면 초안 작성

      ・창호주위 마감 및 개구부 처리방안 확인

      ・면접기 사이즈 결정 및 위치 확인

      ・각종 Recess 처리방안 확인

      ・특수 폼 및 계단 거푸집 계획안 확정

      ・폼 도면 수정 및 확정

     3) 제작/입고

      ・특수 폼 공장제작 및 입고 시 검사

      ・특수 보강부위 및 특기사항 이행여부 확인

     4) 폼 세팅단계

      ・부재 조립의 용이성

      ・배부름, 개구부 변형, 여유 폭

      ・이음부위 턱짐, 마구리 및 면목 상태

      ・폼 탈형의 용이성

     5) 수정 보완

      ・탈형 후 문제부위에 대한 대책마련 및 폼 수정 보완

     6) 본공사

      ・3~4개층 골조 타설상태 중점관리 및 지속적인 수정 보완

     

    슬래브 거푸집 Drop Down System

     

    1. 슬래브 거푸집 Drop Down System(이하 D.D.S) 개요

      ・슬래브 거푸집 부재를 해체와 동시에 떨어뜨리지 않고, 2단계에 걸쳐서 해체하는 방법

      ・1단계 : 슬래브 거푸집 부재 하강

      ・2단계 : 하강된 거푸집 해체

     

    2. 기대효과

      ・거푸집 해체 소음 저감

      ・해체작업 안정성 향상

      ・슬래브 Panel 해체 시, 작업자의 손높이까지 Beam과 Panel을 동시에 하강시켜 작업자가 작업대 없이 해체

         (종류 다양)

     

    3. 구성요소 및 시공순서

     1) 구성요소

      ・System Beam

      ・System Support

      ・Tumber Bracket

      ・Slide Rail

     2) 시공순서

       ① 벽체 거푸집 및 Beam 설치

          - Beam을 Slab 단부의 Tumber Bracket에 연결

       ② Support 설치

          - Beam 하부의 Support 거치대에 Support 설치

       ③ 슬래브 Panel 설치

          - Beam 상부에 Panel을 얹고 Panel 간 Pin 체결

       ④ Filler Support 설치

          - Slab Panel 하부에 설치한다.

     3) 해체순서

       ① 벽체 Panel 해체 및 Pin 제거

          - 슬리브 단부, Filler 주의, 슬래브 Panel의 Pin 제거

       ② Panel 탈형 및 레벨기어 고정

          - Beam과 슬리브 Panel을 한 번에 하강

       ③ Panel 해체 및 정리

          - 하강한 Panel을 Pin 제거 후, 작업자가 Panel 한 장씩 정리

       ④ Support 해체 및 Beam 해체

          - Filler Support 만 3개층 존치, 나머지 부재 모두 해체

     

     

     

     

     

     

     

     

    '건축시공관리 > 거푸집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푸집공사-8  (0) 2023.03.28
    거푸집공사-7  (0) 2023.03.27
    거푸집공사-6  (0) 2023.03.22
    거푸집공사-5  (0) 2023.03.20
    거푸집공사-4  (0) 20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