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20.

    by. 갱토리

    지하 외벽의 시공

     

    1. 지하외벽 조성 조건에 따른 토압 및 지지력

      ・ Slab의 개구부가 연속해 있거나 가설부가 층 중간에 있는 경우, 지하외벽이 부담하는 토압 및 그 지지력의 관계가 변한다.

    2. 가설 Strut가 층 중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1) 가설 Strut로 인해 층 중간에서 이어치기를 할 경우

      ・ 가설 Strut를 해체하면,

        - 외벽은 Cantilever 구조물로 토압 지지

        - 철근 증가, Concrete 강도 증가 등 보강 고려

    3. Slurry Wall을 지하층 외벽으로 사용할 경우

      ・ 지하층 평면상 외벽에 면하는 Slab에 개구부가 많음
        → Dry Area, 기계식 주차시설 등
      ・ Slurry Wall의 수평 지지점 소실
        → 토압의 횡방향 전달이 곤란
    ① Slab 개구부를 전체 평면상 중앙부로 위치 변경
    ② Slab 개구부 부분에 토압을 받을 가로보 설치

     

    외부 옹벽의 시공

     

    1. 외부 옹벽 시공 시 고려사항

      ・문양 Concrete 옹벽의 경우 구조적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의 배열 시 미관을 고려한다.

    2. 옹벽의 배수공 및 줄눈

      ・배수관 설치 시 문양 Concrete의 줄눈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조치한다.

      ・배수 파이프 구배는 10도 정도

      ・Drain Board+부직포를 설치하기도 한다.(벽체 배수판 생각하면 된다)

    3. Expansion Joint 및 Control Joint

      ・이음부위 선정 시 문양 거푸집과의 조화를 고려한다.

      1) Expansion Joint 이음간격 기준

        - 무근 콘크리트는 10m 이내

        - 철근 콘크리트는 18m 이내

      2) Control Joint 이음간격 기준

        - 무근 콘크리트는 5m 이내

        - 철근 콘크리트는 6m 이내 

    4. Earth Anchor Head 처리

      1) 구조보강용 어스앙카를 설치한 경우

      ・반드시 Head 부분을 Concrete로 마감한다 → 부식 방지 및 미관을 고려한다.

      ・마감 방법 : Concrete Cap, Concrete 띠장 보

     

    보 거푸집 가공 및 조립

     

    1. 허용오차 준수

      ・보 거푸집의 가공 및 조립 시 허용오차를 준수한다.

    2. 가공

      1) 큰보 거푸집 가공

      ・보 측판의 전용 효율을 고려하여 Span의 양단에서 정척물 사용

      ・큰보의 길이 : 기둥과 기둥 내측 치수

      ・작은보의 길이 : 큰보와 큰보의 내측 치수

    3. 조립 허용오차

      1) 보 거푸집

      ・옆판, 밑판을 분리하여 옆판의 조기 거푸집 해체를 가능하도록 조치한다.

      ・이음부의 Cement Paste가 누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보 폭이 400mm 이상인 경우 추가 각재를 설치한다(보 폭의 중단)

      2) 작은 보 연결 시공 시 큰보 측판의 가공

      ・큰 보에 작은 보가 걸리는 경우는 큰 보의 측판을 가공한다.

      ・가공 치수 : 작은 보의 단면 치수 + 거푸집널 두께

      ・보강목 : 가공부위의 거푸집 널은 강성이 부족하므로 변형 방지를 위해 보강한다.

    4. 보 부재의 허용오차

      ・위치 : 설계도 기준 ±20mm

      ・단면치수 : -5, +20mm

     

    보 Concrete 타설 방법

     

    1. 보 콘크리트 타설 전 고려사항

      ・철근의 간격, 피복두께 및 Concrete의 규격(골재치수, Slump값) 등을 검토하고 적용한다.

    2. 타설 시 Vibrator 사용

      ・Vibrator는 1개소에 약 5~15초 정도 적용한다. → 오래 적용 시 재료분리 우려가 있다.

      ・수평 간격은 500mm 이하

    3. SRC조 보의 Concrete 타설

      ・한꺼번에 타설 시 철골 아래쪽에 Concrete의 충전이 불량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한 쪽부터 타설 → 다른 쪽 솟음 확인 → 일반 타설 방식으로 진행한다.

    4. 거푸집의 해체 시기

      ・원칙적으로 하부의 거푸집은 설계기준강도의 100%에 도달할 때까지 해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공사 진행을 위해 동바리공 바꾸어 세우기를 진행한다.

      1) 보 옆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5Mpa 이상일 때

      2) 보 밑

      ・단층구조일 경우 : 설계기준 압축강도의 2/3배 이상, 또한 최소 14Mpa 이상

      ・다층구조일 경우 :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필러 동바리 구조를 이용할 경우에는 구조계산에 의해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 단 이 경우라도 최소 강도는 14Mpa 이상으로 한다.

     

    Post Tension 공법의 PC강선 긴장

     

    1. Sheath, PC강선 삽입

    지하 외벽의 시공

      ・정착 부근의 도면을 검토하여 철근 배근 등으로 Concrete 충전이 어려우므로 사전에 Detail을 검토하여야 한다.

      ・Sheath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상된 Sheath는 테이프로 Sealing 한다.

      ・내력의 전달을 위해 정확한 높이의 유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 Sheath의 위치 고정용 철근 배근이 필요하다.

    2. Concrete 타설

      ・정착 부근의 밀실한 타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충분한 Vibrating

        - Concrete의 충전 확인

        - Sheath 내에 Grouting을 할 경우 Concrete 타설 후 Sheath가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3. PC강선 긴장

      ・위치 : 긴장에 필요한 작업 공간의 확보 여부 확인

      ・긴장 : 설치된 Gauge를 보고 PC강선의 신장량을 확인한다

                   → 보고서를 반드시 보관하여야 하며 당초 설계치와 비교 검토한다.

    4. Grouting

      ・Grouting 방법은 여러 가지다 : 공급자 시방을 검토하고 시행한다.

      ・Grout 배합비 : Cement, 물, 혼화제 등의 비율을 검사한다.

      ・Grouting : 배출 측에서 진한 Grout가 나올 때까지 주입하며, 처음에는 Sheath 내의 물과 섞여서 묽은 Grout가 나온다.

    5. 기준층에서의 공정 계획 예시

    구 분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8일차
    N층 수직근
    배근
    수직
    거푸집 설치
    거푸집
    설치
    거푸집
    설치
    슬래브
    데크판개
    포스트텐션
    강선설치
    수평근
    배근
    타설
    N-1층 포스트텐션
    긴장(9일차)
                 
    N-2층   거푸집
    해체
    거푸집
    인양
    거푸집
    인양
           

     

     

     

     

     

     

     

     

     

     

     

     

     

     

     

     

     

     

     

     

     

     

     

     

     

     

     

     

     

     

     

     

     

     

     

    '건축시공관리 > 거푸집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푸집공사-6  (0) 2023.03.22
    거푸집공사-5  (0) 2023.03.20
    거푸집공사-3  (0) 2023.03.19
    거푸집공사-2  (0) 2023.03.19
    거푸집공사-1  (0)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