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
1. 받침기둥 해체 전 고려사항
・ 받침기둥은 슬래브나 부재가 자중 및 부과된 하중을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내력을 확보한 후 해체하여야 한다.
2.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의 정의
・ 받침기둥
- 거푸집, 콘크리트 그리고 시공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설계된 수직 또는 경사진 받침부재들
・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
- 대규모 부재에서 본 거푸집/받침기둥이 제거된 후 거푸집이 해체된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구조부재 하부에 설치
- 새로 타설된 슬래브나 구조부재는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의 설치 전 자중과 시공하중 부담
3. 하중의 부담
・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는 설치 시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
- 그 후에 발생하는 추가 시공하중은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에 의해 연결된 모든 부재로 분산
・ 바꾸어 세운 기둥이 지상 1층에 있을 경우, 각 층의 받침기둥은 단지 새로 타설된 슬래브의 자중 및 시공하중만을 부담.
・ 받침기둥 바꾸어 세우기가 설치되기 전 각 슬래브가 자체 하중을 부담한 상태이기 때문에 중간에 위치한 슬래브의 하중은
미포함한다.
4. 설치 시 유의사항
・ 책임기술자에 의해 공정 진행절차 사전검토/승인 필요
・ 설치작업 중에는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에 설계하중과 거푸집 해체 및 바꾸어 세우기 작업 시 발생하는 최대 수용하중 이상의 하중
(고정하중+시공하중) 부가하는 것을 금지한다.
・ 어떠한 경우에도 받침기둥 세우기는 구조해석에서 결정된 응력의 유형을 변화시키는 위치나 철근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인장응력을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금지한다.
・ 가능한 한 받침기둥 세우기는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여, 중간 지지력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 슬래브가 가벼운 이동 하중을 감당하도록 설계된 경우, 또는 받침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이 큰 대경간의 경우는 과도한 Punching Shear
나 휨응력을 받지 않도록 받침기둥 설치에 주의한다.
5. 바꾸어 세운 받침기둥의 해체
・ 받침기둥은 슬래브나 부재가 자중 및 부과된 하중을 충분히 견딜 내력을 가진 후 해체 가능하다.
・ 해체작업은 미리 계획된 절차에 따라 행해야 하고, 지지된 구조물이 충격을 받거나 편심을 받지 않도록 조치한다.
거푸집 처짐 허용기준
1. 거푸집 변형기준
・ 거푸집의 변형 기준은 공사 시방서에 따르며, 달리 명시가 없는 경우는 표면의 평탄하기 등급에 따라 순간격 내의 변형이 다음 표의 상대
변형과 절대변형 중 작은 값 이하가 되도록 한다.
・ 거푸집에 사용하는 목재는 제재, 건조 및 쌓기 등을 할 때 콘크리트 표면의 경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직사광선을 피하고, 시트
등을 사용하여 보호한다.
① 표면 등급 A급 : 상대변형 = 순간격/360, 절대변형 = 3mm
② 표면 등급 B급 : 상대변형 = 순간격/270, 절대변형 = 6mm
③ 표면 등급 C급 : 상대변형 = 순간격/180, 절대변형 = 13mm
→ 표면 등급
- A급 : 미관상 중요한 노출 콘크리트면
- B급 : 마감이 있는 콘크리트면
- C급 : 미관상 중요하지 않은 노출 콘크리트면
APT 주 현관 기초
1. 침하방지의 중요성
・ 부동침하 등 건축물 침하에 의한 하자 발생은 보수가 불가능함에 유의한다.
2. APT 주 현관 기초 시공
・ 아파트 주 현관 등 일반 건축물의 돌출된 구조물에서 부동침하가 주로 발생한다.
・ 현관 계단의 기초가 대부분 되메우기 구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3. 기초보강
・ 동결심도 아래의 원 지반에 현관 계단용 기초를 설치한다.
→ 본 건물이 파일기초일 경우 동일한 파일 지정 시공한다.
4. 별도의 기초보강을 하지 않을 경우
・ 되메우기 구간 ~ 외벽 시작부 경계에 균열발생
・ 아파트 현관문의 작동이 불가
・ 현관 바닥의 침하
→ 보수가 불가능하며 처음부터 재시공하여야 한다.
지중보 거푸집 조립
1. 지중보 거푸집 조립 시 유의사항
・ 조립순서에 주의하여 시공성을 확보한다.
2. 지중보 거푸집
・ 조립순서
1) 한쪽 거푸집널 세움 : 바닥에 못 등으로 고정
2) 하단 장선의 설치
3) 세퍼레이터의 설치
4) 반대측 거푸집널 설치 : 하단 장선에 폭 고정용 보강재 설치
5) 폼 타이의 시공
6) 일직선 조정
Metal Lath 거푸집
1. 정의
・ 기존의 밀실하고 무거운 거푸집(목재합판, 유로폼) 대신 Rib가 있는 아연(도금철망) Lath를 사용하는 매입형 일체식 거푸집
1) 장점
・ 자재의 경량화, 잉여수 배출로 인한 품질향상, 가공의 용이성, 측압감소로 띠장재 절감, 지층 구조물의 경우 해체 없이 되메움 등
2) 단점
・ 페이스트 누출 우려로 Vibrating 이 곤란하고, 면이 거칠며, 현재 사용 부위가 제한적임
→ 주로 지중구조물, 지하층 옹벽에 사용한다.
3) 시공 시 유의사항
・ 서중, 한중 콘크리트 타설 시 초기양생 주의
・ 녹이 발생해도 상관없는 부위에 사용한다.
→ 오수조, 집배수조는 모르타르 마감 필요
・ 콘크리트의 탄산화를 고려하여 피복두께는 10~20mm 증가
・ 반죽이 질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의 우려
→ 콘크리트 슬럼프 150mm 이하 원칙
2. Metal Lath 거푸집 활용 사례
1) Metal Lath를 이용한 지중보 거푸집
・ 메탈라스 가공 → 하단 철물 설치(하단 장선) → 상단 수평철물 고정(폭 고정용 보강재) → 메탈라스 설치(거푸집) → 지지 파이프 설치 → 상부 지지대 설치(상단 장선) → 타설
2) 독립기초 지중부 일체타설
① 재래식 거푸집 : 독립기초 상단까지 타설(1차) → 2차 타설(주각) → 3차 타설(슬라브)
주각부가 끊어치기해야 하며(구조적으로 불리) 또한 양생, 폼 해체 후 되메우기가 가능하다
② Metal Lath 거푸집 : 해체 없이 주각부까지 1차타설 → 2차 타설(슬라브)
3) Construction Joint의 전단 키 설치시 리브라스와 각목으로 전단 키 형성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