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9.

    by. 갱토리

    기둥 거푸집 개요

     

    1. 거푸집 종류

      ・ 유로폼(기둥 밴드)

      ・ AL폼

      ・ 시스템 폼(발판 일체형)

      ・ CFT

     

    2. 기둥 거푸집 시공 시 유의사항

      ・ 기둥과 수평부재 사이에 청소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슬래브와 분리 및 방수하자, 구조적 결함을 야기시킬 수 있다.

     1) 기둥 거푸집 시공

      ・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12~15mm 합판을 사용

      ・ 각목 및 Column Bend 설치

      ・ 콘크리트 타설 시 과다한 측압이 걸리지 않도록 시차를 두고 타설한다.

     2) 부재의 허용오차

      ・ 위치 : 설계도 기준 ±20mm

      ・ 단면치수 : 설계도 기준 -5mm, 설계도 기준 + 20mm

     3) 마무리의 허용오차

      ・ 마무리두께 7mm이상 : 10mm/1m(바름 바탕의 경우)

      ・ 마무리두께 7mm이하 : 10mm/3m(뿜칠, 타일압착)

      ・ 제치장, 도장 등 : 7mm/3m

     4) 거푸집의 존치기간

      ・ Concrete 압축강도가 5Mpa에 도달하거나 일정 재령일이 지난 후 거푸집 해체가 가능하다.

      ・ 규정보다 먼저 거푸집을 해체할 경우, 구조계산에 의해 충분히 안전한 것을 확인한 뒤 해체 가능하다.

     5) 기타사항

        ① 청소구 설치

           ・ 기둥 하단 중앙에 150×150 이상의 청소구를 설치하여 타설 전 진공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쓰레기 등 이물질을 청소한다.

           ・ 청소 불량은 부실 구조물을 초래한다.

        ② Column Bend

           ・ 측압을 고려하여 간격을 결정하며 통상 600mm이하 간격으로 설치한다.

           ・ 맨 하단의 Column Bend는 바닥으로부터 150mm 이내애 설치한다.

     

    기둥 거푸집 가공 및 조립

     

    1. 수직 정밀도

      ・ 거푸집이 전체의 정밀도를 좌우한다 : 구조, 마감의 품질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2. 기둥거푸집의 길이

      ・  Slab 두께와 Slab용 거푸집판의 두께를 제외한 치수에서, 바닥Slab 상태의 표면을 고려하여 10~20mm 짧게 제작하고 받침목으로

         조절한다.(Slab마다 상태가 달라 같은 높이로 하면 맞지 않기 때문에 받침목으로 조정해준다)

    3. 조립

      ・ 하단부의 고정

        거푸집널 하단에 받침목 설치 후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시켜준다.

      ・ Column Bend의 고정

        Tie-Rod방식 : 기둥단면에 Seperator 관통

        Column Clamp 방식 : 클램프로 Column Bend 고정

    4. 기둥 부재의 허용오차

      ・ 위치 : ±20mm, 단면치수 : -5, +20mm

     

    벽 시공 개요

     

    1. 벽 시공 시 고려사항

     1) 측압 검토

      ・ 일반적으로 높이 3.5m의 벽에서

        - 수직 보강재 간격은 약 250mm 내외

        - 수평 보강재 간격은 약 500mm 내외

        - Form Tie 간격 = 400mm 내외

     2) 수평 보강재(띠장)

      ・ 최상단 : 300mm 정도

      ・ 최하단 : 200mm 정도

     3) Concrete 타설 시 다짐

      ・ 1개소에 5~15초

      ・ 다짐 간격 : 500mm

      ・ 다짐 깊이 : 하층에 약 100mm 정도

     4) 벽체의 높이가 높아 Concrete를 이어칠 경우

      ・ 보 하부에서 이어치기

      ・ 하층이 굳지 않은 경우 Vibrator로 약 100mm 삽입

      ・ 이어치기 시간 간격 : 25℃ 미만 : 150분 이하

                                        25℃ 이상 : 120분 이하

     5) 간격재

      ・ 상단 : 보 밑에서 0.5m

      ・ 중단 : 상단에서 1.5m 정도

      ・ 황간격 : 1.5m 정도

      ・ 단부 : 1.5m 이내

        - 폭 고정과 간격재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벽체용 Spacer도 있다.

     

    2. 철근의 보강

     1) 벽체 단부 철근 배근

      ・ 벽체 단부 U-bar 및 띠철근 배근, U-bar는 인장철근 이음 길이만큼 배근되어야 한다.

     2) 벽체 모서리의 보강

      ・ 모서리 부분 U-bar 수평근 2배 간격으로 한쪽 벽체에, 교차하여 다른 쪽 벽체에 배근한다. 수평재 간격으로 한쪽 벽체에 U-bar 보강

        했으면 다음 수평재 간격에는 다른 쪽 벽체에 U-bar보강을 교차로 배근한다는 의미이다.

    ★ U-bar 및 보조 띠철근

      ・ 전단벽의 양단부에 기둥과 같은 배근을 함으로써 부재의 연성을 높여준다.

        - Bar의 폭 : 벽 두께 -50mm

        - 보조 띠철근 : 한 쪽은 90도, 다른 쪽은 135도 Hook 가공한다.

    ★ 옹벽 철근조립 시 거푸집 한면을 정확히 설치하여야 철근 조립 시 교차부, 이음부 등의 위치, 상호 간격을 정확히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벽 거푸집 조립 및 보강

     

    1. 벽 거푸집 시공 시 유의사항

      ・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품질 및 형상 유지를 위해 견고하게 설치한다.

    2. 하단부의 고정

      ・ 외벽에서 한쪽 벽이 수평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

        하층거푸집의 장선을 이용, 줄눈 설치 및 보강

        하층의 Form Tie 이용, 줄눈 설치 및 보강

    3. 조립 상세

      ・  벽 거푸집 한쪽 면의 조립

        한쪽 면의 거푸집을 세움 → 기준 높이 설정(바닥에서 1m) → 매설물, 개구부 거푸집 등 설치 → 반대측 세우기 및 결속

    4. 개구부의 처리

      ・ 벽체 철근을 절단하고 Corner 보강근을 설치

        →D16 이상의 철근을 2개 이상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인장철근 정착길이 이상 연장하여 정착

    5. 모서리, 교차부의 보강

      ・ Concrete 타설에 의한 배부름 방지

       벽 내민 모서리부 및 T자형으로 교차하는 부분 배부름을 방지한다.

     

    외벽 개구부 주변 처리

     

    1. 외벽 개구부 주변 처리의 중요성

      ・ 외벽 개구부에 발생한 균열은 창호 주변과 벽 틈새에서 누수를 유발할 수 있다.

    2. 외벽 개구부 주변 처리 방안

      1) 단면 형상의 조정

      2) 보강 철근의 시공

    3.  유도줄눈(Control Joint)의 설치

      ・ 유도줄눈의 설치는 외관효과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개구부 모서리는 수축, 변형 등에 의해 인장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

        므로 유도줄눈 설치

      ・ 개구부 간격이 800mm이하의 경우에는 개구부 상하에 가로줄눈을 넣으면 효과적이며 또한 이 부분의 위 아래로 보강근을 충분히 한다.

     

     

     

     

     

     

     

     

     

     

     

     

     

     

     

     

    '건축시공관리 > 거푸집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푸집공사-6  (0) 2023.03.22
    거푸집공사-5  (0) 2023.03.20
    거푸집공사-4  (0) 2023.03.20
    거푸집공사-2  (0) 2023.03.19
    거푸집공사-1  (0)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