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수 후 누수시험
1. 시공 후 확인
- 방수층 시공완료 후 누수의 유무를 검사하여, 소정의 방수 성능이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한다.
2. 확인방법
- 소규모의 평지붕, 실내방수, 수조 → 담수 Test
- 박공지붕, 규모가 큰 평지붕, 지하구조물 → 살수 Test 또는 강우 시 검사
3. 담수 Test
- Drain 또는 배수구를 밀봉하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도 5cm 이상 되도록 물을 채운 뒤 24시간 방치 후 누수 발생여부를 확인
- Sheet 방수의 경우 이음부위, 코너부위를 발로 밟아 기포 발생 여부를 확인.
(방수층 치켜올림 높이를 넘지 않도록 설치, 물 깊이는 최소 5cm 이상, 배수구는 물이 새지 않도록 밀봉
→ 이후 누수의 집중 확인 부위 : 모서리, Concrete 이음 부위, 부재 접합부, 매설물 주위 등은 집중하여 누수여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 담수 Test 후 담수의 배수
- 옥상 선홈통 설치 전 옥상 담수 Test를 실시할 경우, 배수를 고려하여 엘보를 이용한 가설 선홈통 설치
4. 살수 Test
- 검사용수의 공급, 배수처리 등을 사전에 고려
- 살수는 해당 지역의 최대 강우 강도 이상
- 모서리, 돌출부 등 하자 다발부위 위주로 실시
5. 강우 시 검사
- 지하구조물은 강우 시 Dewatering을 중단하고 누수 여부를 확인
→ 이때,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검토
- 자연 강우를 이용할 수 있으면 가장 간편하나, 강우량은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관리 곤란
→ 예상 하루 강우량 50mm 이상 : 강우 후 누수를 확인.
→ 예상 하루 강우량 50mm 이하 : Drain이나 배수구를 밀봉하고 빗물을 담수로 활용
방수 하자 특성요인
1. 방수하자 요인 제거
- 하자원인 특성 및 누수 Mechanism을 숙지하여 방수 하자 용인을 사전에 제거한다.
2. 하자원인 특성요인
1) 설계상 불량
- 도면 누락 : 주요부위 상세 누락, 설계도에 방수 표시 부정확
- 설계검토 미흡 : 방수공법 선정 불합리, 설계자의 방수 관심 부족
2) 시공상 불량
- 작업 전 불량 : Crack발생, Form Tie 처리 불량, 재료분리 현상 처리 미흡, 모체 Laitance, 청소 불량
- 작업 중 불량 : 시공속도를 무시한 공정, 숙련공 부족, 작업기준 불명확, 방수공의 경험에만 의존
- 작업 후 불량 : 후속 작업에 의한 손상, 습윤 보양처리 불량, 되메우기 시 강한 충격
3) 재료상 불량
- 품질기준 불량 : 배합비 혼합 무시, 기준미달 제품 사용
- 재료관리 미흡 : 규정량 미사용, 용도에 부적합한 자재 사용, 자재 검수 미비, 보관 시 부주의(온도, 습도, 자외선 등), 제품특성 표시
미부착
4) 의식 부족
- Q.C Team 인원 부족
- 방수업체의 경험에만 의존
- 하자사례 활용 미흡
3. 누수의 Mechanism
- 누수는 물 + 틈 + 압력차가 공존할 때 발생
★ 한가지 요인만 제거해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주요 방수하자 발생부위의 대책
1. 개요
- 주요 방수하자 발생부위는 시공 시 유의사항을 사전에 인지하여 시공관리를 철저히 한다.
2. 주요 방수하자 발생부위 대책
1) 지하주차장 천장 누유 및 누수
- 원인 : 콘크리트 슬래브 균열에 따른 방수층 파단
- 대책
① 방수시공 전 슬래브 균열관리 철저
② E/J (Expansion Joint) 및 Box 매립구간 방수 보완
③ 이질 방수재료로 보강방수 금지(우레탄도막과 아스팔트계 복합방수와의 반응)
④ 방수재료에 용매제 과다희석 금지
2) 욕실, 발코니 천장 누수
- 원인 : 슬리브 고정용 철물 내부식성 자재 미사용
슬래브 균열에 따른 방수층 파단(액체방수는 균열에 대한 대응성이 적음)
- 대책
① 슬리브 고정용 철물 내부식성자재 사용
② 방수 시공 전, 슬래브 균열관리 철저
3) 방풍실, 커튼월 하부 누수
- 원인 : 방풍실, 커튼월 하부 방수턱 미시공, 방수 미흡
- 대책
① 방풍실, 커튼월 하부 방수턱 시공
② 출입구 구배 철저 시공
③ 엘리베이터 근처 방풍실 방수대책 강화
4) 헬리포트 바닥방수 들뜸
- 원인 : 무근콘크리트 타설 후 구배용으로 후타설된 모르타르 들뜸, 도막방수 하부로 유입된 잔존수의 증발로 인한 에어포켓 현상
- 대책
① 바탕면의 콘크리트 품질관리 철저
② 바탕면 구배 시공 철저
③ 모르타르 후타설 지양
방수공사의 종류 및 특성
본격적인 방수공사의 종류에 들어가기 전에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자
1. 규산질계 도포방수(=침투성 방수)
2.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
3. 아스팔트 방수
4. 시트방수
5. 도막방수
6.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1. 규산질계 도포방수(=침투성 방수)
1) 정의 : 유기질계 또는 무기질꼐 재료를 도포하여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공극에 침투시켜 바탕재의 방수성을 향상시킨 공법
2) 기준 : KS F 4918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재
3) 장점 : 공사비가 저렴, 바탕면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시공가능하다, 습윤바탕에 시공 가능, 공정이 단순
4) 단점 : 방수층 자체균열, 바탕의 균열, 박리로 인해 방수효과 상실, 작업기능공에 따라 방수효과의 차이 발생, 지붕면적이 큰 경우
적용 불가
2.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
1) 정의 : 시멘트 모르타르에 방수재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자체에서 방수성을 발휘하는 공법
2) 기준 : KS F 4925 시멘트 액체형 방수제 / KS F 4919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
3) 장점 : 공사비가 저렴, 바탕면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시공가능하다, 습윤바탕에 시공 가능, 공정이 단순(규산질계 도포방수와 동일)
4) 단점 : 방수층 자체균열, 바탕의 균열, 박리로 인해 방수효과 상실, 작업기능공에 따라 방수효과의 차이 발생, 지붕면적이 큰 경우
적용 불가(규산질계 도포방수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