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4. 7.

    by. 갱토리

    - 레버리지를 풀어 말하면 '가치 창줄을 위한 규모와 속도의 법칙' 이다. 당신이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수록 교환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은 증가하며 교환의 기회는 늘어난다.

      → 책 '역행자'에서도 보았던 기억이 나는데, 사람들의 불편함을 해소해줄 수 있는 것이 돈이 된다. 라고 했던 것 같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수록(서비스나 상품을 제공) 재화의 양은 증가, 교환의 기회는 늘이난다. 

     

    - 화폐라는 보편적인 교환 수단을 사용하는 자본주의사회에서 개인의 선택은 두 가지 뿐이다. 돈의 흐름을 이용하여 부를 

      쌓든지, 돈에 대항해서 싸우다가 결국 부를 쌓는 사람에게 고용되는 것이다. 적어도 불행하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해서는

      부의 법칙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 물건을 살 때 이 물건이 정말 필요한가? 꼭 필요한 물건이거나 높은 가치가 있는 물건인가? 아니면 단지 허영심을 만족

      시키기 위한 물건인가? 매우 단기적인 가치를 위해 장기적인 가치가 있는 물건을 구매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가? 명확히

      답할 수 없다면 그 물건을 사지 마라.

      → 나도 이 구절을 읽으며 머릿속에서 뎅~~하는 소리가 났는데, 매우 단기적인 가치를 위해 구매했던 품목들이 많았던 것

          같다. 이 글을 읽고 소비하기 전에 많은 망설임(?) 을 하게 되었다. 또한 이 대목을 읽으면서 생각났던 것이, 청소 전문가

          가 썼던 책에서 보았는데, 집에서 그 물건이 차지하고 있는 가치보다, 집이 워낙 비싸다 보니 대부분은 그 물건 가치

          보다는 그 물건이 차지하게 될 공간의 가치가 더 비싸다고 했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런 물건을 들여놓을 때도 또한

          기존 물건을 어떻게 정리할지도 생각해 보면 그 물건이 더더욱 필요한지 필요하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 정말 필요한가? 전에 비슷한 물건을 산 적이 있는가? 3년 후에도 이 물건을 사용할까?

      → 판단 기준으로 삼기에 좋다고 생각한다.

     

    - 돈이 흘러들어오게 하는 레버리지는 생산 수단에 시간과 자본을 투자하고, 사람과 시스템에 의해 일이 운영되게 하고,

      자신은 운영에서 빠지는 것이다.

      → 레버리지에서 말하는 핵심이다. '자신은 운영에서 빠지는 것'

     

    - 비판을 성장을 여정으로 받아들이고,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고, 배우고, 발전하라. 진실한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나머지

      는 흘려버려라.

      → 최근 sns에서 읽은 글에서 성숙한 사람의 기준으로 좋고 싫음을 따지기 보다 올바름을 따질 수 있는 사람이다. 라고

          했다. 나는 아직 미성숙한 사람이다^^...하지만 성숙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

     

    - 피드백은 챔피언의 아침 식사.

      → 멋진 말이다. 피드백 하고, 아침에 간단하게 계획을 수정하고, 일하면 더 효율적이다. 더더구나 '챔피언은 그렇게 한다'.

     

    - 리더의 역할은 구성원이 조직의 비전에 동화될 수 있도록 그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다.

     

    - '내일' 이라는 말은 '결코 하지 않을 것' 이라는 말과 같다.

      → 소위 '뼈 때리는' 말이다. 맞는말~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손흥민 선수가 자신의 저서에서 했던 말 중에 어제 나에게

          투자했던 것들은 오늘의 내가 보상받고, 오늘의 내가 투자하는 것들은 내일의 내가 보상받는다 라며 꾸준함과 성실함

          을 몸소 훈련하며 느꼈다고 했던 것이 기억난다. 그 책을 한번 읽어봐야 겠다.

     

    - 앞으로는 시간이 완전히 소비될 때까지 원하는 것을 뒤로 연기하면서 살지 않기를 바란다.

      → 미루지 말라는 것

     

    - 아웃소싱, 네트워킹, 트레이닝, 시스템, 멘토 모두 투자된 시간이다.

     

    - 지속적인 소득은 투자된 시간에서 발생한다.

     

    - 배당금은 투자된 시간에서 발생하고, 급여는 소비된 시간에서 발생한다.

      → 급여는 소비된 시간에서 발생...한다...우리는 몸이 하나이므로, 투자된 시간은 한정적이다.

     

    - 시간을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 모델이 있다면, 당장은 소득이 없어도 견뎌라. 곧 돈이 당신을 위해 일할 테니까.

      → 지식을 쌓고, 시간을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 모델로 레버리지 하라 는 것이다.

     

    - '투자된 시간' 은 업무가 완료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수익을 올리거나 레버리지 효과를 제공하는 시간이다.

      지속적인, 반복적인 이익을 창출한다. 부동산이 대표적이며 지식을 쌓는 것도 마찬가지다.

     

    - 시간을 어떻게 투자하고 있는가. 그 시간에 무엇을 하고있지 않은가. 이 두 가지 질문으로 스스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측정하라. 당신이 시간을 사용하는 방식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 레버리지를 만드는 가장 확실한 연료는 지식이다.

      → 자신에게 투자, 지식 축적의 중요성

     

    - 당신은 최고의 자산이다. 자신에게 가장 높은 이자를 지불하라. 자신에게 현명하게 투자하라.

      → 여기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모르기 때문에 쓸데없이 지불되는 돈보다, 비싸지만 확실한 멘토에게 가서 돈을 기꺼이

          지불하고 배우는 것이 오히려 더 쌀수도 있다 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만큼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

     

    - 백만장자들의 시간은 한 시간당 700만원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레버리지해야 할 수 있다. 는 작가의 말에 공감하며 나에게 투자하는 것, 지식을 쌓고 시간을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 모델을 찾아 투자하는 것. 하나의 출발점이 된다고 생각한다.

    맞는말만 해서 뼈 아팠던, 레버리지 한번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